아벤티노 언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벤티노 언덕은 로마의 일곱 언덕 중 가장 남쪽에 위치하며, 로마 신화에서 중요한 장소로 여겨진다. 언덕은 아벤티누스 메이저와 아벤티누스 마이너로 나뉘며, 고대 로마 시대에는 디아나 신전이 세워지고 공공 토지로 사용되었다. 로마 공화정 시대에는 평민의 수호신을 위한 신전이 세워졌으며, 이후 다양한 신들의 사원이 건립되었다. 제정 시대에는 귀족들의 저택이 들어섰으나, 410년 로마 약탈로 인해 파괴되었다. 현대에는 부유층이 거주하는 지역으로, 정치적 사건의 배경이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아벤티노 언덕 | |
---|---|
개요 | |
![]() | |
일반 정보 | |
위치 | 로마 |
7개의 언덕 | '예' |
로마의 리오네 | 리파 |
라틴어 이름 | Collis Aventinus |
이탈리아어 이름 | Aventino |
IPA (이탈리아어) | /avenˈtiːno/ |
역사적 맥락 | |
주요 인물 | 안쿠스 마르키우스 루키우스 보레누스 루키우스 오피미우스 마르쿠스 풀비우스 플라쿠스 나에비우스 교황 식스토 3세 |
주요 사건 | 아벤티노 분리 (기원전 494년) 아벤티노 분리 (20세기) |
종교 | 디아나, 케레스, 리베르, 리베라, 보나 데아 신전 |
2. 위치와 경계
아벤티노 언덕의 이름은 전설적인 왕 아벤티누스에서 유래되었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세르비우스는 이 이름을 가진 두 명의 왕을 언급하는데, 한 명은 고대 이탈리아 출신이고 다른 한 명은 알바 출신으로, 둘 다 먼 옛날에 언덕에 묻혔다고 한다. 세르비우스는 언덕이 고대 이탈리아 왕 아벤티누스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고 믿는다. 그는 바론이 사비니족이 근처의 아벤투스 강을 따서 언덕의 이름을 지었다는 주장을 거부했다. 마찬가지로 그는 헤라클레스가 레아 실비아에게서 낳은 아벤티누스가 아벤티노 언덕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믿는다.[3]
아벤티노 언덕은 로마의 일곱 언덕 중 가장 남쪽에 위치해 있다. 북서쪽의 더 높은 곳(Aventinus Major)과 남동쪽의 더 낮은 곳(Aventinus Minor) 두 부분으로 나뉘며, 이 두 언덕 사이에는 가파른 협곡이 있어 고대 도로가 지나갔다.[1] 로마 공화정 시대에는 두 언덕이 하나로 인식되었을 수 있다.[1]
아우구스투스의 개혁에서는 두 언덕 사이의 고대 도로(현대 Viale Aventino)를 아벤티누스 메이저를 포함하는 새로운 레지오 XIII와 아벤티누스 마이너를 포함하는 레지오 XII의 경계로 정했다.[2]
3. 어원 및 신화
아벤티노 언덕은 로마 신화에서 중요한 장소로 여겨진다.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에는 아벤티노 언덕 경사면에 있는 동굴 속에 불을 뿜는 거인이 산다는 전설이 있다.
3. 1. 로물루스와 레무스
아벤티노 언덕은 로마 신화에서 중요한 장소였다.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에서 강 옆 아벤티노 언덕의 바위 경사면에 있는 동굴은 게리온의 소를 훔쳐 헤라클레스에게 죽임을 당한 괴물 카쿠스의 거처였다.[4] 로마 건국 신화에서 신에게서 태어난 쌍둥이 로물루스와 레무스는 새로운 도시를 세우고, 이름을 짓고, 이끌 권리와 그 장소를 결정하기 위해 조짐 대회를 개최한다. 대부분의 이야기에서 레무스는 아벤티노 언덕에 자신의 점술 텐트를 세우고 로물루스는 팔라티노 언덕에 텐트를 세운다.[5]
각각은 신의 승인을 의미하는 많은 수의 길조(aves)를 보지만 레무스는 로물루스보다 적게 본다. 로물루스는 자신의 성공적인 조짐이 있던 장소에 로마를 세운다. 엔니우스와 일부 후기 자료에서 발견되는 이전 변형에서는 로물루스가 아벤티노 언덕 중 한 곳에서 조짐을 행한다. 레무스는 다른 곳, 아마도 남동쪽 높이, 아벤티노 언덕의 두 언덕 중 더 작은 언덕에서 조짐을 행하는데, 이는 엔니우스의 ''몬스 무르쿠스''로 잠정적으로 확인되었다.[6]
스쿠츠(1961)는 엔니우스의 변형을 가장 유력하다고 여기며, 로물루스의 팔라티노 언덕 조짐은 아벤티노 언덕의 이름이 – 이전에는 더 크고 북동쪽 높이에만 사용되었지만 – 그보다 작은 이웃 언덕까지 포함하도록 일반적인 사용법이 확장된 후의 발전이라고 본다. 조짐 규칙과 신화 자체는 각 쌍둥이가 다른 장소에서 조짐을 가져야 했다. 따라서 대회에서 이기고 도시를 세운 로물루스는 로마 건국의 전통적인 장소인 더 행운의 팔라티노 언덕으로 옮겨졌다. 대회에서 졌을 뿐만 아니라 나중에 생명까지 잃은 레무스는 아벤티노 언덕에 남았다. 세르비우스는 아벤티노 언덕이 "불길한 새들"의 서식지라는 평판을 언급한다.[7][8]
4. 역사
아벤티노 언덕은 초기 로마 시대에는 도시 경계 밖에 있었으나, 점차 로마의 중요한 지역으로 편입되었다. 스트라보에 따르면, 로마의 왕 안쿠스 마르키우스는 라틴족을 이주시킨 후 도시 성벽을 건설하여 아벤티노 언덕을 통합했다.[9][10]
아벤티노 언덕은 외부인과 외래 종교가 로마로 들어오는 관문 역할을 했다. 왕정 말기 세르비우스 툴리우스는 라틴 동맹의 중심지로서 디아나 신전 (로마)을 건설했다. 로마 공화국 초기에는 로마 원로원이 평민의 수호신인 케레스, 리베르, 리베라를 위한 아벤티노 삼위신 신전을 세웠는데, 이는 평민 반란에 대한 대응 중 하나였다.[11]
기원전 456년경, ''렉스 이실리아'' 법을 통해 평민들에게 아벤티노 언덕의 재산권이 부여되었다. 기원전 391년경 골족의 침입 이후, 아벤티노 언덕을 포함한 도시 성벽이 재건 또는 확장되었는데, 이는 평민 출신 평민 애딜과 호민관의 영향력이 커지는 것과 관련이 있다.[12]
로마는 아벤티노 언덕을 통해 많은 외래 신들을 수용했다. 기원전 392년 마르쿠스 푸리우스 카밀루스는 유노 레지나 신전 (아벤티노 언덕)을 세웠고, 이후 수마누스, 보르투무누스, 미네르바 등의 신전이 세워졌다.[13]
베니토 무솔리니 시대에는 무솔리니에 반대하는 야당 의원들이 아벤티노 언덕에서 의회 활동을 중단하고 쫓겨나기도 했다.
현대에 아벤티노 언덕은 궁전, 성당, 정원 등이 있는 부유층 거주 지역이다.
4. 1. 로마 시대
원래 로마 초기에는 아벤티노 언덕이 로마 시의 경계 내에 위치해 있지 않았다. 고대 로마 역사가 리비우스에 따르면, 로마의 4대 왕이 근처의 라틴족 일부를 복속시켜 이곳에 이주해 살게 했다. 이후 그는 로마의 성벽을 확장하여 아벤티노 언덕을 시의 경계 안으로 밀어넣었고, 왕정 말기까지 시의 외곽부로 존속했을 가능성이 크다.아벤티노 언덕은 타지의 외부인들이 로마 시내 안으로 들어왔음을 알리는 일종의 최외곽 경계의 역할을 했다. 왕정 말기 무렵에는 6대 왕이 이곳에 디아나 여신에게 바치는 신전을 지었으며, 이곳을 라틴 동맹의 상징으로 삼았다. 기원전 493년에 왕정이 무너지고 공화정이 세워지자 로마 원로원은 아벤티노 언덕에 3개의 신전을 더 지었다. 이 신전들은 키르쿠스 막시무스를 내려다보고 있었으며 팔라티노 언덕과 마주보고 있었다. 이곳은 로마의 평민들과 민회의 중심지였다.
이때까지 언덕은 공유지였을 가능성이 크다. 로마 정부는 평민들과 도시 빈민들이 이곳에 슬금슬금 모여드는 것을 허락하였고, 이로 인해 거대한 판자촌이 세워지게 된다. 결국 기원전 391년 골족들이 대대적으로 침입해오자 상대적으로 방비가 약할 수밖에 없었던 이곳 아벤티노 언덕이 함락되었고, 한동안 로마는 야만인들의 지배 하에 놓이게 된다. 후대에 로마의 힘이 커짐에 따라 로마의 성벽을 다시 확장하여 정식으로 아벤티노 언덕을 감싸게 되었는데, 이와 같은 조치에는 점점 더 커져가는 평민들과 호민관, 민회의 권력이 배경에 있었다.
로마 제국은 후에 아벤티노 언덕에 타 지역에서 들여온 신들의 사원들을 더 짓게 된다. 기원전 392년에 유노의 신전이 세워졌으며 3세기에는 미네르바의 신전이 세워진다. 고대 로마 시대에는 아벤티누스 언덕이라고 불렸으며, 세르비우스 툴리우스 왕에 의해 디아나 신전이 세워지고 국유지로 지정되었다. 로마 공화정 시대가 된 기원전 456년, 호민관 루키우스 이키리우스가 인구 증가 대책으로 이곳을 거주지로 하는 이키리우스 법을 제출하여 가결되었고, 이로 인해 사람들이 살기 시작했다고 한다.[18]
4. 2. 제정 시대
황제 시대에 아벤티노 언덕의 성격이 바뀌어, 황제가 되기 전의 트라야누스와 하드리아누스, 그리고 트라야누스의 친구이자 개인 리키니우스 수라 욕장을 지은 루키우스 리키니우스 수라를 포함한 수많은 귀족 저택의 자리가 되었다. 비텔리우스 황제와 ''로마 시장'' 루키우스 파비우스 킬로도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시대에 그곳에 살았다. 아벤티노 언덕은 또한 252년에 지어진 데키우스 욕장의 부지였다.이러한 새로운 귀족 동네의 특징은 410년 알라릭 1세의 로마 약탈 동안 그곳이 완전히 파괴된 원인이 되었을 것이다.
4. 3. 현대
베니토 무솔리니가 이탈리아를 휩쓰는 광풍을 일으키는 동안, 무솔리니를 반대하던 수많은 야당 의원들이 이곳에서 그들의 정치적 생명을 포기하고 의회에서 쫓겨났다.이곳은 현재 부유층들이 거주하는 아름다운 곳으로, 궁전, 성당, 정원들이 들어서 있다. 파시즘 시대에, 자코모 마테오티 살해 이후 많은 야당 의원들이 이 언덕으로 은퇴했으며, 이른바 "아벤티노 분리"에 의해 의회에서의 활동을 중단하고 정치 활동을 마무리했다.
이 언덕은 현재 궁전, 교회, 정원을 포함한 풍부한 건축적 흥미를 가진 로마의 우아한 주거 지역이다. 예를 들어 산타 사비나 성당, 성 보니파시오와 알레시오 성당, 로마 장미 정원 등이 있다.

5. 로마의 일곱 언덕
아벤티노 언덕은 로마의 일곱 언덕 중 가장 남쪽에 위치해 있다. 북서쪽에는 더 높은 곳(Aventinus Major), 남동쪽에는 더 낮은 곳(Aventinus Minor)의 두 개 언덕이 있으며, 두 언덕 사이에는 가파른 협곡이 있어 고대 도로가 지나갔다. 로마 공화정 시대에는 두 언덕이 하나의 개체로 인식되었을 수 있다.[1]
로마의 도시 구역(''비키'')에 대한 아우구스투스 개혁에서는 두 언덕 사이의 고대 도로(현대 Viale Aventino)를 아벤티누스 메이저를 포함하는 새로운 레지오 XIII와 아벤티누스 마이너로 알려진 레지오 XII의 일부 사이의 경계로 인식했다.[2]
초기 로마의 일곱 언덕은 도시 로마가 성립되기 전에 사람이 정착했다고 전해지는 일곱 언덕으로, 오피오 언덕 (오피오), 팔라티움 (팔라티노의 동쪽), 벨리아, 파구탈 (오피오의 일부), 켈마르스 (팔라티노의 서쪽), 카일리우스 (첼리오), 키스피우스의 7개이다.
로마의 기원이 된 로마의 일곱 언덕은 아벤티누스 (아벤티노), 카피토리누스 (카피톨리노), 카일리우스 (첼리오), 에스퀼리누스 (에스퀼리노), 팔라티누스 (팔라티노), 퀴리날리스 (퀴리날레), 위미날리스 (비미날레)의 7개이다.
현대 로마의 일곱 언덕은 아벤티누스 (아벤티노), 카피토리누스 (카피톨리노), 팔라티누스 (팔라티노), 퀴리날리스 (퀴리날레), 호르툴룸 (핀초), 야니쿨룸 (자니콜로), 오피우스 (오피오)의 7개이다.[19]
참조
[1]
서적
A new topographical dictionary of ancient Rome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2
[2]
논문
Enniana IV: Condendae urbis auspicia
1961-11
[3]
웹사이트
Commentary on the Aeneid of Vergil
https://www.perseus.[...]
[4]
백과사전
Cacus
http://www.paulyonli[...]
2007-05-04
[5]
서적
Remus: a Roman myth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6]
논문
Enniana IV: Condendae urbis auspicia
1961-11
[7]
논문
Enniana IV: Condendae urbis auspicia
1961-11
[8]
웹사이트
Commentary on the Aeneid of Vergil
https://www.perseus.[...]
[9]
서적
Ab urbe condita
[10]
웹사이트
Geography
https://penelope.uch[...]
2007-05-08
[11]
서적
The beginnings of Rome: Italy and Rome from the Bronze Age to the Punic Wars (c.1000–264 BC)
Routledge
1995
[12]
논문
The Evolution of the City of Rome from Its Origin to the Gallic Catastrophe
https://books.google[...]
1909-09-02
[13]
논문
Foreign Cults in Republican Rome: Rethinking the Pomerial Rule
2002
[14]
백과사전
世界大百科事典
平凡社
1988
[15]
간행물
イタリア2013
昭文社
[16]
간행물
ローマ古寺巡礼/出雲・石見・隠岐の神楽
島根県並河萬里写真財団
[17]
간행물
ローマ古寺巡礼/出雲・石見・隠岐の神楽
島根県並河萬里写真財団
[18]
서적
ローマ建国以来の歴史
京都大学学術出版会
[19]
백과사전
ローマ七丘
平凡社
198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